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변영로 시인의 발자취를 따라서 부천시 수주문학관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4-05-16
부천시박물관은 부천 문화자산의 보존 및 연구, 시의성 있는 전시 기획, 소장품 연계 교육 및 체험 프로그램 운영 등을 통해 관람객과 소통하는 박물관 문화를 조성하고 있습니다. 문화도시 부천에서 만나볼 수 있는 다양한 박물관, 오늘은 수주문학관에 대해 알아보려합니다.
부천 수주문학관  ⓒ 박도현 기자


수주문학관은 부천시를 대표하는 문학관으로서, 한국 근대문학의 대표전문인 수주 변영로 시인의 문학정신과 작품을 기념하기 위해 조성된 문화공간입니다. 변영로 시인은 옛 이름인 수주를 호로 삼을 만큼 부천에 대한 애정이 남달랐습니다. 현재 고강동에는 시인의 생가터와 묘소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수주문학관에서는 일제강점기와 해방, 6·25전쟁과 민족 분단의 아픔을 고스란히 겪은 시인의 문학 세계와 삶을 조망해보고, 부천시의 문학 전통과 유산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수주문학관 이용정보 운영시간 : 09:30 ~ 18:00(입장마감 17:00) 휴관일 : 매주 월요일 / 1월 1일 / 설·추석 당일 / 법정 공휴일 관람료 : 무료 공간별로 한국 근현대 역사와 변영로 시인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1 ZONE에서는 ‘천재의 고향, 펜을 들다’라는 주제로 햇볕 사립짝에 졸고졸던 고향 부천, 삼변 천재 3형제를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변영만 변영태 변영로 형제  ⓒ 박도현 기자


2 ZONE에서는 ‘민족의 울분, 기록하다’라는 주제로 겨레의 독립 정신을 세계에 알리다, 손기정의 자리를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변영로의 작업실  ⓒ 박도현 기자


3 ZONE에서는 각 마음의 방을 구성하여 절개, 의지, 끝없는 기다림, 생의 무상과 비극적 자아를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변영로의 작업물  ⓒ 박도현 기자


4 ZONE에서는 ‘수주의 흔적, 정신을 이어받아’라는 주제로 명정 40년, 수주 작업실, 시작, 수주에게 보내는 글, 기증자 명패를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수주에게 보내는 글  ⓒ 박도현 기자


마지막으로, 2024년 9월 13일까지 수주문학관 기획전시 「수주 변영로와 그의 시대」展이 개최됩니다. 수주 변영로의 아들 변갑수의 자녀가 기증한 유물 521점 가운데 수주 변영로가 살았던 시대상을 볼 수 있는 사진 자료를 선정하였으며, 젊은 시절, 여행, 음주, 그와 시대를 함께한 유명 인사와 유물을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부천시박물관 누리집을 참고하시거나, 032) 320-6434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부천시박물관 누리집 바로가기(www.bcmuseum.or.kr)

수주문학관 기획전시 `수주변영로와 그의시대`  ⓒ 박도현 기자


수주문학관 옆에는 도서관동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수주도서관 이용정보 운영시간 : 평일(종합자료실 09:00~22:00 / 아동자료실 09:00~18:00). 주말(종합자료실 09:00~17:00 / 아동자료실 09:00~17:00) 휴관일 : 매주 월요일 및 법정공휴일(일요일제외), 단 일요일이 다른 법정공휴일과 겹치는 경우에는 휴관함

책을 읽을 수 있는 공간  ⓒ 박도현 기자


유아자료실은 따뜻한 우드와 부드러운 올리브 그린 계열 색상을 적용해 더욱 편안한 느낌을 연출하고 있습니다. 아이들이 다양한 곳에서 앉아 책을 읽을 수 있도록 원형소파를 배치하였으며, 수유실을 구비하고 있습니다. 아동실은 큐브 박스형 의자, 벤치형 서가 등 다양한 의자를 활용해 아이들이 편안하게 책을 읽을 수 있도록 제작되었습니다. 파티션 서가를 통해 로비와 경계를 만들었고 개방적인 느낌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어린이자료실  ⓒ 박도현 기자


일반자료실은 서가, 열람공간, 휴식공간 등 다양한 공간이 함께 어우러져 모두가 편안히 쉬면서 독서를 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습니다.

수주도서관에서 이용할 수 있는 책들  ⓒ 박도현 기자


이번 주말, 수주문학관에서 수주 변영로 선생의 일대기를 관람하고, 수주도서관에서 마음의 양식을 쌓아보는 건 어떨까요?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카드뉴스] 경기도 봄꽃축제, 여기 어때요?
이전글 [경기도 대표단, 미국·캐나다 방문] ⑦ 첨단산업 위해서라면···쉴 틈 없다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