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경기도 교육 콘텐츠로 전국 10만 학생 온라인 수업 中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0-04-23
경기도가 지난 9일부터 온라인 개학을 맞은 학교에 제공 중인 경기도 교육용 동영상 콘텐츠가 전국 교사와 초중고 학생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경기도 온라인 평생학습 서비스 플랫폼 ‘지식(www.gseek.kr)’ 홈페이지 갈무리.  ⓒ 경기뉴스광장


경기도가 지난 9일부터 온라인 개학을 맞은 학교에 제공 중인 경기도 교육용 동영상 콘텐츠가 전국 교사와 초중고 학생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 23일 경기도에 따르면 9일부터 21일까지 전국 15개 시·도, 319개 학교 500명의 교사가 경기도의 교육용 동영상 콘텐츠를 원격수업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신청서를 제출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경기도(142개교 6만1,030명)를 비롯해 서울(60개교 1만4,075명), 경남(19개교 4,190명), 충남(19개교 3,677명) 등 전국적으로 10만1,482명의 학생들이 경기도 콘텐츠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도는 전국 교사들의 요청에 따라 지난 9일부터 도가 운영 중인 온라인 평생학습 서비스 플랫폼 ‘지식(www.gseek.kr)’이 보유한 교육용 동영상 콘텐츠를 원격수업자료로 무상 제공하기로 하고 신청서를 받고 있다. 경기도의 교육용 동영상 콘텐츠를 활용해 원격수업을 진행 중인 군포시 소재 고등학교 A교사는 “원격수업 준비에 막막했는데, 경기도에서 제공받은 중국어 수업 콘텐츠를 원격수업 시스템에 탑재해 학생들과 함께 잘 활용하고 있다”면서 “콘텐츠의 내용이 좋아 학생들의 반응도 좋다. 다른 콘텐츠도 수업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원격수업용으로 가장 인기가 높은 콘텐츠는 ▲나의 길을 찾아서, 진로찾기(학교 57곳 신청) ▲갓 오브 보컬트레이닝(학교 38곳 신청) ▲쇼미더힙합(학교 32곳 신청) ▲신기한 잡(Job)학사전 광고의 세계(학교 20곳 신청) 등이다. 경기도는 이들 콘텐츠가 진로탐색과 체험학습, 학생들의 핵심역량 등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중학교 자유학년제 수업에 적합해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했다. 가장 인기가 많은 ‘나의 길을 찾아서, 진로찾기’는 진로교육 전문가 권인택 씨가 강사로 나와 청소년들이 자신의 적성과 진로를 직접 찾아보고 고민을 해결할 수 있도록 스토리형 애니메이션과 실천 활동지를 제공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전국의 경기도 온라인 평생학습 서비스 플랫폼 ‘지식’ 이용 현황. 올 4월 23일 현재 기준.  ⓒ 경기뉴스광장


이밖에도 실외 체육활동이 어려운 실정을 고려해 ▲하루 10분 코어운동, 건강해지는 가장 쉬운 방법(학교 40곳 신청), ▲유승민과 함께하는 하우투 탁구(학교 28곳 신청) 등 체육 관련 콘텐츠와 중국어·영어 등 어학 분야, 생활취미, 인문학 과정의 활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경기도가 제작한 다양한 교육용 콘텐츠가 코로나19로 인한 교육 위기 상황에서 전국적으로 활용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면서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수요와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경기도 콘텐츠가 교사와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경기도에서 제공하는 교육용 동영상콘텐츠 활용을 원하는 교사들은 지역 관계없이 누구나 ‘지식(www.gseek.kr)’ 사이트 내 ‘지식더하기 > 온라인 개학 콘텐츠 신청’ 메뉴에서 직접 신청서를 작성하면 이용 가능하다. 신청서 접수는 온라인 개학이 끝날 때까지 이루어질 예정이다. 한편, 도는 온라인 평생학습 서비스 플랫폼 ‘지식(www.gseek.kr)’ 사이트 이용량이 전월 대비 2배 이상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용량 확대 등을 검토하기로 했다.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으로 도민도 웃고, 지역 경제도 웃고!
이전글 “더 어려운 이웃에 써주세요”…경기도 재난기본소득 기부 물결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